엑셀 INT, TRUNC 함수로 숫자값 정수로 변환하기
엑셀 INT, TRUNC 함수는 소수점으로 기록된 숫자값을 정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 자릿수를 조정하거나 ROUND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많이 쓰지만, 이 방법으로 숫자값을 정수로 변환할 경우 정수 부분까지 반올림되기 때문에 소수점 아래 자릿수만 그대로 버리고 싶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 주셔야 합니다.
INT와 TRUNC 함수를 사용하면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버리면서 정수로 변환시켜주는데, 이 두 가지 함수는 각각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, 그리고 이 둘은 어떤 차이점이 존재하는지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엑셀 INT 함수 사용 방법
INT 함수는 숫자값 인수 한 개만 갖고 있어 아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=INT를 입력한 상태에서 괄호를 열고 숫자값을 직접 넣거나 숫자가 적힌 셀을 클릭한 뒤, 괄호를 닫고 엔터를 눌러주세요.
그러면 입력한 숫자값이 정수로 변환되는 걸 볼 수 있답니다. INT 함수는 입력한 값을 소수 첫째 자리에서 내림하여 정수로 변환시켜주기 때문에 소수점 아래 모든 자릿수는 정수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고 그대로 버려지는 걸 볼 수 있어요.
엑셀 TRUNC 함수 사용 방법
TRUNC 함수로도 소수점이 표시된 값을 정수로 변환시킬 수 있습니다. 참고로 TRUNC 함수는 숫자값 이외에 또 다른 인수를 하나 더 입력할 수 있으나, 정수로 변환시키려면 두 번째 인수를 생략해 주셔야 해요.
이 함수 또한 INT처럼 어렵지 않게 사용 가능합니다. 먼저 =TRUNC를 입력한 후, 괄호를 연 상태에서 숫자값 또는 숫자가 적힌 셀 주소 하나만 넣고 괄호를 닫아주세요. 이제 엔터를 눌러 어떤 값으로 변환되었는지 확인해 주시면 되겠습니다.
TRUNC를 사용하여 숫자값을 정수로 나타내보았습니다. 이번에도 입력한 값이 정수로 변환된 게 보이시나요? TRUNC 역시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모두 버리기 때문에 소수점이 제거된 채 그대로 정수로 변환되는 걸 볼 수 있답니다.
INT, TRUNC 함수 공통점과 차이점
INT, TRUNC 함수 공통점
앞서 설명했듯, INT와 TRUNC 모두 입력한 숫자값을 정수로 변환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. 둘 다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버리기 때문에 양수 범위 내에선 동일한 값이 나오는 걸 볼 수 있죠.
또한, 두 함수 모두 숫자 인수 하나만 입력해도 정수 변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해당 함수를 사용하실 수 있답니다. 소수점이 표시된 값을 소수 첫째 자리에서 내림하여 정수 부분만 표시하고 싶을 때 두 함수를 유용하게 사용해 보세요!
INT, TRUNC 함수 차이점
INT와 TRUNC는 양수값을 인수로 넣을 때와 달리 음수값을 인수로 넣을 때 차이가 발생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. 두 함수의 표현 방법이 묘하게 달라서 이러한 차이가 생기게 된 것이죠. 쉽게 설명하자면, INT는 입력한 값 이하의 수들 중 가장 가까운 정수로 변환이 이루어지지만, TRUNC는 단순히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모두 잘라낸 채로 변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값이 나오게 된 것이랍니다.
예를 들어 -1.618을 정수로 나타낼 때 INT는 -1.618 이하의 수들 중 가장 가까운 정수인 -2가 결과로 나오는 반면, TRUNC는 소수점 아래에 표시된 자릿수를 그대로 잘라내었기에 -1이 결과로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.
양수를 정수로 표현할 땐 둘 중 아무거나 사용해도 상관없지만, 음수값이 하나라도 들어있다면 위와 같은 차이가 발생하므로 INT와 TRUNC 둘 중 어떤 함수를 써야 할지 고민될 때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사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!
이 글도 같이 확인 해보세요! 많은 도움이 되실겁니다! 엑셀 드롭다운, PPT 테마 슬라이드